사단법인 온라인유통센터

INSIGHT

유통 트렌드

2025년 6월 5일 마케팅 뉴스 클리핑

Author
kimyoungcheol
Date
2025-06-05 08:24
Views
8
#0. 오늘의 명언 영어 :
To be or not to be. That is the question.죽느냐 사느냐, 그것이 문제로다.-윌리엄 셰익스피어 작품 <햄릿> 중(케이모스트컴퍼니제공)

#1. 50대, 패션 소비 큰손
국내 패션 소비가 최근 1년간 82조 원을 넘긴 가운데, 50대가 전체 소비의 23.6%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이어서 40대가 22.8%, 30대가 18%를 차지했다. 복종별로는 캐주얼복이 가장 많이 팔렸고, 구매 선호 채널은 온라인이 오프라인을 앞질렀다.

#2. AI가 광고 설계까지… 광고주는 입력만 하면 끝
AI가 광고 기획부터 집행까지 주도하는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. 메타는 제품 이미지와 예산만 입력하면 AI가 모든 광고를 생성·운영하는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. 네이버도 AI 자동화 광고 툴 ‘AD부스트 쇼핑’을 출시해 광고주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있다. 광고 산업의 구조 자체가 AI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.

#3. C커머스 성장 멈췄다… 알리 매출 증가율 2%대로 둔화
가파르게 성장하던 중국발 C커머스의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. 5월 알리의 국내 카드 결제 추정액 증가율은 2.7%에 그쳤고, 테무 역시 전달 대비 1.8% 증가에 머무르며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. 저렴한 가격 외 차별점을 만들지 못한 데다 유통망·품질 신뢰도에서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.

#4. 잇단 메타버스 철수… 기업들 하차 행렬
컬러버스 파산, SKT·KT 서비스 종료 등 국내외 메타버스 기업이 속속 사업을 접고 있다. 카카오의 메타버스 사업의 핵심으로 기대를 모은 컬러버스는 최근 파산했고, 네이버의 제페토는 매년 영업손실 규모가 커지고 있다. SK텔레콤의 이프랜드도 지난 3월 서비스를 종료했다.

#5. 중국 자본, 여행업도 침투… 트립닷컴 OTA 점유율 급등
중국계 온라인 여행사 트립닷컴이 숙박·항공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. 올 1월 신규 다운로드 1위, 항공권 시장 점유율 5위로 도약했으며, 최저가 전략으로 경쟁사들을 압박 중이다. 전문가들은 게임·엔터에 이어 여행업까지 중국 자본에 잠식되며 수수료 인상, 데이터 독점 등을 경고하고 있다.

#6. 대선 직후 유통업계 역대급 할인전 시작
대선이 끝나자마자 유통 대기업들이 초대형 할인전에 돌입했다. 롯데는 ‘레드페스티벌’로 최대 100만 원 환급 이벤트를, 신세계는 ‘고래잇 페스타’로 식품부터 가전까지 최대 50% 할인을 진행 중이다. 수박과 한우 반값, 숙박 할인 등 6월 쇼핑 성수기를 겨냥한 소비 진작 전략이다.

#7. 무신사, ‘무배당발’ 도입… 주 7일 당일배송 시작
무신사가 주 7일 배송 경쟁에 뛰어들었다. 무신사는 ‘무료배송 당일발송(무배당발)’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. 200여 개 브랜드가 참여하며, 토요일 주문 시 일요일에도 배송이 이뤄진다. 무신사 측은 소비자가 빠른 배송 서비스를 명확히 인지하도록 리브랜딩 했다고 설명했다.

출처: Kmost company Ltd.

www.i-boss.co.kr
온라인마케팅 포털, 아이보스